본문 바로가기

국토부 2020년 상반기 혁신도시 정주환경 통계조사 발표

국토부 2020년 상반기 혁신도시 정주환경 통계조사 발표

- 공동주택(77,937), 어린이집(268) 등 정주환경 점차 개선으로 나타나

- 부처 합동공공기관 선도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차질 없이 추진 예정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혁신도시 정주인구 현황과 핵심 정주시설 공급 현황을 내용으로 하는 2020년도 상반기 기준 혁신도시 정주여건 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혁신도시 공동주택 77,937, 어린이집 268 공급 혁신도시 정주 환경 조성을 위한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 되고 있으며, 주환경이 점차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인구 현황

 

‘206월 말 혁신도시 주민등록인구214천여 명(213,817)으로 ’17년 말(174,880) 대비 38,937증가했다. 또한 혁신도시 주민등록인구의 평균 연령은 33.2로 대한민국 평균 연령 42.9에 비하여 매우 젊은 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도시는 9세 이하의 인구가 17.2%(전국평균 7.9%), 이와 관련 부모세대인 30~40대 비율은 41.0%(전국평균 29.5%)젊은 도시의 특성 반영, 생애주기고려어린이(가족) 특화 생활 기반시설(인프라)에 대한 고려를 중심에 두고 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혁신도시 가족동반 이주율(미혼·독신 포함)‘17년 말(58.1%) 대비 7.2%p증가한 65.3%정부대전청사 이전 5년과 10경과한 시점의 가족동반 이주율이 각각 62.1%, 65.8%로 유사한 이주실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혁신도시별로 제주(81.5%), 부산(77.5%), 전북(73.8%)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수도권에서 가까운 충북(46.9%), 강원(60.5%)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혁신도시 정주여건 현황(‘20.6)

 

한편, 국토교통부에서는 이전공공기관 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를 지원하고 있다. 최근 3(‘18~‘20)간 교원 및 공무원 이전교류 신청을 통해 교원 76, 공무원 40명 등 116이전시켜 가족동반 이주율 제고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시설 공급 현황

 

혁신도시 공공주택 공급은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다. ‘206월 말 현재 혁신도시에는 공동주택 78천여 호(77,937, 누적)를 공급하여 전체 계획대비 87.6% 물량에 대한 공급이 완료되었다.

 

또한 혁신도시 내 계획된 54개 중 46개교가 개교하였고, 유치원 41개소 및 어린이집 268개소가 개원하여 운영 중에 있다. 의원, 약국, 마트 등 편의시설7,125개소로 ‘17년 말 5,415개소에 비하여 개선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분야별 혁신도시 정주여건 현황(‘20.6)

 

 

다만, 의료기관의 경우 종합병원 및 응급의료시설 접근에 30~40 소요되는 되는 등 접근성이 미흡하고 혁신도시별로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어, 정주민들의 개선 요구가 가장 많았다.

 

국토교통부 혁신도시지원정책과 이대섭 과장지금까지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모두의 노력으로 17에 비해 정주환경 조성 등에 나름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하며,

 

혁신도시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여러 부처와 협업을 통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며 최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공공기관 선도 혁신도시 활성화 방안차질 없이 추진하겠다 의지를 다졌다.

 

아울러 혁신도시가 가장 젊은 도시임을 감안하여 정책의 방향을 생애주기에 맞춰 유연성 있게 펼쳐나가고, 혁신도시 시즌 2맞춰 수준 높은 주거교육문화의료교통 등의 정주환경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